전체 글 (52) 썸네일형 리스트형 여러 오브젝트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관리(1) 로블록스 정식 기초 튜토리얼의 마지막 과정에서 다수의 FadingPlatform 블럭을 사용하였다. 여러 블럭으로 만들기 위해 복제(Ctrl+D)를 하였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FadingPlatform의 스크립트도 같이 복사되었다는 점이다. 여러 FadingPlatform 갯수만큼의 여러개의 똑같은 스크립트가 존재하게 되었다. 다수의 똑같은 스크립트의 존재는 리소스의 낭비라는 측면도 있고, 버그때문에 혹은 기능추가 삭제를 위해서 소스를 수정하기 했을때... 모든 스크립트를 똑같이 다 수정해 줘야한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여러개의 HP물약을 하나의 스크립트로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HP물약은 플레이어의 HP를 즉시 가득 채워준다. HP물약의 효과가 발동하면 바로 반투명하게 바뀌고 몇 초후에 다시 불투명.. 여러 오브젝트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관리(2) HP물약 리스트 반복문에 사용하기 앞선 튜토리얼에서 GetChildren() 함수의 반환값으로 HP물약 리스트를 얻었다. 여기서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각 HP물약 오브젝트들에게 Touched 이벤트에 함수를 연결해줄 것이다. 이렇게 하면 게임이 시작하면 HealthPickups 폴더의 모든 게임오브젝트에 대해서 Touched 이벤트에 함수를 연결해줄 수 있다. 루아의 리스트를 for문에서 사용하는 문법은 다음과 같다. Index(인덱스): 1부터 시작해서 리스트의 길이까지의 값을 가진다. 사용하지 않을때는, _ 을 넣어두면 된다. Value(값): 리스트의 해당 인덱스의 값이다. 리스트안에 들어가있는 요소들의 값이므로 각 요소에 대한 이름으로 해두자. Array(리스트): 반복시킬 리스트. ipairs().. 로블록스의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에 대하여 (3) 로블록스내에서 RemoteEvent, RemoteFunction 사용방법 앞선 내용에서 이미 RemoteEvent와 RemoteFunction은 ReplicatedStorage의 자식 오브젝트로 추가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라고 밝혔다. 그 이유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양쪽에서 접근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그 역할에 가장 알맞는 서비스가 ReplicatedStorage 이기 때문이다. Remote Event 사용법 Remote Event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emoteEvent의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이 RemoteEvent 객체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양쪽에서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즉 ReplicatedStorage의 자식으로 RemoteEvent를 추가한다. ReplicatedStorage를 탐색기 창(E..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